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경매 정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오늘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을 이용하여 전국 부동산 매매 와 전.월세 시세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부동산 시세를 알아보는 사이트는 많습니다.

그 외의 자주 사용하는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KB부동산 리브온, 네이버부동산, 피터팬의좋은방구하기 등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피터팬의좋은방구하기는 임대 시세의 정보가 다른 사이트에 비하여 자료가 더욱 많습니다.

참고 하시어 사용 하시면 될꺼 같습니다.

 

 

 

오늘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의 검색방법에 대하여 알아 보겠습니다.

 

 

우선 네이버 사이트 창을 띄우시고 상단 검색창에 "부동산실거래가" 및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을 기입 후 검색 클릭을 하시면 위와같이 사이트가 나옵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들어가시면 상단 1번 메뉴에 아파트, 연립/다세대, 단독/다가구, 오피스텔, 분양/입주권, 상업/업무용, 토지등 전국 모든 시세를 파아할 수 있으며, 빌라같은 경우 원하는 년식과 비슷한 평수별로 검색을 통하여 자세하게 시세파악을 할수 있습니다.

2번 주택 매매거래량 추이의 그래프를 통하여 간단하게 알아볼수 있습니다.

3번 주택 전.월세거래량 추이도 마찬가지로 그래프를 통하여 간당하게 알아볼수 있습니다.

 

상단메뉴에서 아파트 외의 원하는 부동산을 클릭을 하시면 왼쪽상단에 표시된거와 같이 기준년식, 주소구분, 시도, 시군구, 읍면동, 단지명을 통하여 자세하게 구분지어서 검색을 할 수 있습니다.

 

 

원하는 부동산 소재지를 검색을 하시면 왼쪽 하단 1번과 같이 조회가 가능합니다.

번지수까지 입력을 하셨을 경우에는 해당 부동산이 거래가 있을경우에는 자료가 나옵니다.

(단, 거래가 없는 경우에는 나오지 않습니다.)

이 외에 읍,면,동까지만 검색을 하셨을 경우에는 그 주변 부동산이 모두 조회가 가능합니다.

 

2번 상세정보란은 지도에 보이는 거래된 부동산이 있을경우에 클릭을 하시면 나오는 화면 입니다.

년도별로 매매거래량을 확인을 할수 있으며, 년도별로 전.월세의 시세도 파악을 할 수 있습니다.

 

 

1번 부동산의 물건을 조회를 하셨다면,  가운데 지도화면처럼 거래되었던 자료가 있을 경우에는 파랑색으로 표시가 되고, 파랑색에 표시된 숫자는 거래되었던 아파트의 갯수를 의미합니다.

 

 

위와같이 거래되었던  아파트의 갯수의 표시가 되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거래되었던 아파트가 많이 나옵니다. 내가 원하는 부동산의 년식, 평수, 주변환경을 비교하시어 시세를 파악을 하시면 됩니다.

 

 

위의 자료와 같이 국토교통부 공식 페이스북, 한눈에 보는 부동산 정보, 부동산통합민원 일사편리, 민원24, 한국감정원, 국세청 등 부동산에 관련된 내용도 클릭한번으로 모두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위의 자료도 마찬가지로 위택스, 인터넷등기소, 아파트관리비 확인, 국토교통부의 부동산 정보를 알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만 간단히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더욱 많은 자료가 많으므로 차근차근 확인 하시길 바랍니다.

오늘도 블로그에 방문을 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아래의 링크를 통하여 확인 하시면 되겠습니다!!

 

http://rt.molit.go.kr/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rt.molit.go.kr

 

2020/02/25 - [부동산 경매 정보] - 2020년 2월 20일 19번째 부동산 대책 이후 조정대상지역의 주택담보대출 변경 된 내용!!

 

2020년 2월 20일 19번째 부동산 대책 이후 조정대상지역의 주택담보대출 변경 된 내용!!

안녕하세요!! 오늘은 지난주 2월 20일에 정부에서 발표한 부동산 대책에 대하여 설명을 드리려고 합니다. 정부에서 부동산을 더욱 규제를 하고 있습니다. 이번 부동산 대책으로 변경된 부분을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dlxl1001.tistory.com